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

한민족의 맥(脈)과 혼(魂)이 살아 깃든 천 년의 소리 '대금' 대금 한민족의 맥(脈)과 혼(魂)이 살아 깃든 천 년의 소리 옛 문헌들을 살펴보면 흔히 서(Reed)가 없는 죽관악기들 중 앞으로 부는 악기는 소(簫), 옆으로 부는 악기는 적(笛 또는 저), 또는 금 (芩)으로 기록하여 앞으로 부는 악기와 옆으로 부는 악기를 명확하게 구분 짓고 있다. 대금(大芩)은 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삼현(三絃-가야금, 거문고, 향비파)과 삼죽(三竹-대금, 중금, 소금)의 하나로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옆으로 부는 횡적(橫笛)이며 그중 가장 큰 까닭에 ‘큰저' 또는 ‘젓대'라고도 부른다. 대금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악지』, 『동국여지승람』, 『악학궤범』 등에 보이는데 『삼국유사』 ‘권2 만파식적(萬波息笛)’에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하고 있다. 천하를 화.. 2023. 7. 2.
'백악지장'(百樂之丈:모든 악기의 으뜸)의 소리를 사진 '거문고' '거문고' 거문고의 기원은 『삼국사기』에 전해지는데, 중국 진(晉)나라에서 보내온 칠현금을 고구려의 제이상(第二相) 왕산악(王山岳)이 본 디 모양을 그대로 두고 그 제도를 많이 고쳐 만든 것이라 한다. 왕산악이 이때 100여 곡을 지어 연주하였더니 검은 학이 날아들어 춤 을 추었기에 ‘현학금(玄鶴琴)’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뒤에 ‘학’ 자를 빼고 ‘현금’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1932년 중국 지린성 지안 현에서 발굴된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거문고의 원형으로 보이는 악기가 발견됨에 따라 거문고는 진나라 이전의 고구려에 이미 존재했 다는 설이 유력시되고 있다. 또 거문고라는 명칭도 현학금에서 나온 것이 아닌 ‘고구려금’ , 즉 ‘감고(거뭇고)’의 음변(音變)으로 보기 도 한다. 신라에 전해진 거문고는 옥.. 2023. 7. 2.
우리나라 전통악기인 '가야금'이란? '가야금(伽倻琴)'은 한국의 전통 현악기로 거문고와 비슷하나 다른 말로 가얏고라고도 합니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한 악기 분류 중 사부(絲部)에 속하고 있습니다. 오동나무 통에 명주실로 된 열두 줄을 매어 손가락으로 뜯는 악기입니다. 하지만 개량 가야금에서는 18현,25현,등 줄의 개수를 늘려 사용하기도 합니다. 줄풍류를 비롯하여 가곡반주·가야금산조·가야금병창 등에서 연주가 되어집니다. 가야금은 동아시아 전역에 널리 퍼져 있는 롱 지터(long zither)류의 전통악기 중 하나입니다. 중국의 정(쟁筝) 와 슬 (瑟), 일본의 고토(琴/箏), 베트남의 단트란(彈筝), 몽골의 야탁(yatga) 와 카자흐스탄의 제티겐(jetigen) 등이여기에 해당한다. 가야금 구조 1,좁고 긴 오동나무 공명동(共鳴胴)에 명주.. 2023. 7. 2.
'국악國樂'의 다양한 장르를 알아보자!!🎶 '국악國樂' 의 장르는 크게 3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바른 음악'이라는 뜻의 정악은 감정을 절제하고 정신을 밝게 해준다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즐겁되 넘치지 않고, 슬프되 비통하지 않은 감정 절제가 정악의 특징입니다. 정악 중 기악으로는 궁중음악, 풍류음악, 영산회상, 자진한잎이 잇고, 힘차고 기운찬 느낌의 행진음악인 대취타도 바로 정악 중 기악에 속하고 있습니다. 성악으로는 가곡, 가사, 시조가 있습니다. 민속악의 문화를 향유하는 계층은 중중이나 양반층이 아닌 평민들로서 세속적으로 즐겼던 음악을 말합니다. 각 악기로 최대한의 기량을 효현하는 독주음악 산조, 우리나라의 대표 성악인 판소리가 민속음악의 대표적인 장르이며 또한 무속음악, 토속민요, 풍물놀이 그리고 불교음악인 범패도 민속음악 중 하나입니다.. 2023. 7. 2.